서울 청년이 자산을 두 배로 만드는 현실적인 방법!
서울시가 청년의 자립과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운영하는 대표 제도, 희망두배 청년통장.
2025년에도 월급의 일부를 저축하면 서울시가 같은 금액을 매칭해주는 이 제도를 통해 2~3년 뒤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가 열렸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신청 조건부터 혜택, 신청 시기, 발표 일정까지 모두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희망두배 청년통장은 서울시가 청년의 경제적 자립을 돕기 위해 마련한 자산형성 지원 제도입니다.
근로 중인 청년이 매월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서울시가 동일한 금액을 지원하여 2~3년 후 두 배의 금액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항목 | 내용 |
신청 기간 | 2025년 6월 10일(화) 오전 10시 ~ 6월 20일(금) 오후 6시 |
선발자 발표 | 2025년 11월 4일 예정 *선발자는 약정 관련 문자 안내 실시 |
신청 방법 | 서울시 자산형성지원사업 누리집(PC 전용) 온라인 신청 |
모집 인원 | 총 10,000명 예정 |
아래 4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신청 가능합니다.
항목 | 내용 |
거주 요건 | 서울시 거주자 (공고일 기준) |
연령 요건 | 만 18세 이상 ~ 만 34세 이하 (1990.1.1. ~ 2007.12.31. 출생자)
|
근로 요건 | 최근 1년 이내 3개월 이상 근로 또는 현재 재직 3개월 이상 (월 60시간 이상) |
소득 및 재산 요건 | 본인 월 소득 255만 원 이하, 가구 연소득 1억 원 미만, 재산 9억 원 미만 |
구분 | 2년형 | 3년형 |
월 저축액 | 10만 원 또는 15만 원 | 10만 원 또는 15만 원 |
서울시 매칭 지원 | 동일 금액 지원 | 동일 금액 지원 |
총 수령 예상액 (최대) | 720만 원 (15만 원 x 2년 x 2) | 1,080만 원 (15만 원 x 3년 x 2) |
✔ 예시
- 월 15만 원, 3년형 선택 시 → 본인 540만 원 + 서울시 지원 540만 원 = 총 1,080만 원
- 월 10만 원, 2년형 선택 시 → 본인 240만 원 + 서울시 지원 240만 원 = 총 480만 원
신청 시 온라인 업로드해야 할 필수 서류
※ 서류 미비 시 탈락 사유가 될 수 있으며, 모든 서류는 공고일 기준 최신 자료로 제출해야 합니다.
희망두배 청년통장은 미래를 준비하는 청년에게 서울시가 함께 힘이 되어주는 든든한 정책입니다.
2025년 6월 9일부터 신청 가능하며, 목돈 마련에 관심 있는 청년이라면 반드시 도전해볼 만한 기회입니다.
놓치지 말고 준비해서 11월 4일 발표(예정) 날 좋은 결과를 얻어보세요!
2025 민생회복 소비쿠폰 발표 내용 정리 (0) | 2025.07.05 |
---|---|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완벽 가이드(2025 기준) (1) | 2025.06.10 |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프로그램 (2025년 6월 예정) (2) | 2025.05.27 |
인도-파키스탄 무력충돌의 역사적 배경 (0) | 2025.05.11 |
청년도약계좌|가입 조건부터 예상 수익까지 총정리! (1) | 2025.04.29 |